주식 투자자를 위한 법률 상식/자본시장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본시장법] 공매도 금지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공매도란 무엇인가 자본시장법 및 동법 시행령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증권시장의 안정성 및 공정한 가격형성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거래소의 요청에 따라 상장증권의 범위, 매매거래의 유형 및 기한 등을 정하여 차입공매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코로나로 인한 증시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하여 2020. 3.16.부터 9.15.까지 6개월간 유가증권, 코스닥, 코스텍 시장 전체 상장종목에 대한 차입공매도를 금지하는 시장제한조치를 실시하였습니다. 다만, 9.15. 이후 차입공매도 금지 조치를 연장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미정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차입공매도를 제한하더라도 위 업무규정 세칙으로 정하는 매매거래를 위한 차입공매도 호가의 경우에는 예.. 더보기 [자본시장법] 금융투자업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금융투자업의 종류 자본시장법에서는 금융투자업을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계속적이거나 반복적인 방법으로 행하는 행위로서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 투자자문업, 투자일임업, 신탁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을 말한다(제6조 제1항)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업의 종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투자매매업 투자매매업은 누구의 명의로 하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금융투자상품의 매도·매수, 증권의 발행·인수 또는 그 청약의 권유, 청약, 청약의 승낙을 영업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1. 금융투자상품 매도·매수 투자이익을 목적으로 금융투자상품의 매도·매수를 영업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즉 일반 회사나 개인이 여유자금 운용목적으로 금융투자상품을 매도·매수하는 행위는 투자매매업에 해.. 더보기 [자본시장법] SK바이오팜 상장으로 본 상장의 효과 곧 SK바이오팜 상장일인 7월 2일이 다가옵니다. SK바이오팜 상장은 제일모직 상장과 비견될 만큼 엄청난 청약경쟁률을 보였고, 지주회사인 SK의 주가도 같이 상승하는 등 시장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SK바이오팜은 자체 신약의 미국 FDA(식품의약국) 허가 획득 경험, 신약 파이프라인 경쟁력 등을 갖추고 있어 올해 IPO 시장의 가장 큰 이슈로 꼽혔고, 지난 22일 공모주 청약 첫날 경쟁률은 61.93대 1로, 지난 2016년 11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공모주 청약 경쟁률(45.34:1)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곧 빅히트의 상장 이벤트도 앞두고 있어 이번 시간에는 상장을 하면 어떤 효과가 있는지, 상장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상장(IPO)이란? 상장이란 한국거래소가 정한 요건을 충족한.. 더보기 [자본시장법] 유가증권 공시의 종류(feat. DART, KIND) 주식 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보유하고 계신 종목의 전자공시시스템 공시 사항을 수시로 체크하실 것입니다. 유무상증자, 대규모 수주 공시, FDA 승인 소식 등 주가에 영향을 주거나 투자판단에 중요한 대부분의 뉴스는 공시시스템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상장법인들이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는 사항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유가증권 공시 제도 유가증권 공시는 상장법인으로 하여금 자사주식의 투자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기업내용의 정보를 공시하도록 함으로써 투자자가 기업의 실체를 파악하여 투자자 스스로의 자유로운 판단과 책임하에 투자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서, 증권시장내의 정보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증권시장의 공정성을 확보하여 투자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