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평가 방법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i) 자산가치접근법(Asset-based Approach), (ii) 수익가치접근법(Income Approch) 및 (iii) 시장가치접근법(Market Approach)이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위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치평가법인 현금흐름할인법, 시장가치비교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자산가치접근법(Asset-based Approach
자산가치접근법은 평가시점 현재 대상기업의 개별 자산과 부채를 평가하여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장부가치에 의한 평가가 여기에 해당하는데, 자산가치접근법은 이러한 장부가치를 공정가액(Fair Value)로 조정하여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데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자산가치접근법은 현재시점의 개별 자산과 부채를 평가하는 것이므로 미래의 경제적 이익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수익가치접근법(Income Approch)
수익가치접근법은 미래에 예상되는 경제적 이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현금흐름할인모형(DCF; Discounted Cash Flow Method)이 대표적입니다. 위 방법에 의한 평가를 하는데 있어 '미래에 예상되는 경제적 이익을 추정하는 방법'과 '현재가치로 적절히 할인하기 위한 할인율'을 적절하게 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현금흐름할인모형은 장래에 창출될 현금흐름을 해당 기업의 가중평균 자본비용 등 적절한 할인율을 이용하여 현재의 가치로 환산하는 것으로 가치평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방법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시장가치접근법(Market Approach)
시장가치접근법은 평가대상회사와 영업위험 및 재무위험이 유사한 비교대상기업을 선정하고 비교대상기업의 가격정보를 이용하여 평가대상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시장가치비교법(Market Multiple Method or Relative Valuation)이 있습니다.
시장가치비교법은 평가대상회사의 재무상황 및 영업환경이 유사한 상장회사의 주가를 이용하여 평가대상회사의 주식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말하며, 대부분의 애널리스트 보고서뿐만 아니라 기업인수합병(M&A)시 거래가격의 산정, IPO시 목표주가 산정을 하는 데 이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시장가치비교법에는 비교대상기업(산업군)의 PER와 평가대상기업의 주당순이익(EPS)를 멀티플하여 산출하거나, EV/EBITA 멀티플을 이용한 방식이 대표적입니다. PER 멀티플 방식을 단순히 계산해보면, 음식료 산업군의 평균 PER를 10이라고 가정할 때, 현재 EPS가 1,000원인 기업의 적정주가는 EPS X PER를 한 금액인 10,000원이 되는 방식입니다.
현금흐름할인모형은 가치를 구하는 과정이 상당히 복잡한데 비해, 시장가치비교법은 비교적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PER 멀티플 방식 단독으로 해당 기업의 적정가치를 산정하는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여러가지 방식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주식 투자자를 위한 법률 상식 > 주식투자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2020년 세법 금융세제 개편안 발표 (0) | 2020.07.24 |
---|---|
[주식투자] 소액주주 주식 양도세 부과 방안 (0) | 2020.06.26 |
[주식투자] 유상증자에 대응하기 (권리락, 신주인수권 매도) (1) | 2020.06.25 |